어제 택시를 타려고 집 앞에서 손을 흔들었는데요. 30분 동안 ‘예약’ 택시만 지나갔습니다..(아련..🍂) 이동 앱 없이는 택시를 탈 수 없는 시대.. 그동안 외국인 여행객들은 인터페이스 및 결제 등의 어려움으로 카카오 택시를 이용할 수 없었는데요. 이제 외국에서 사용하던 모빌리티 어플 그대로 카카오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외국인 관광객의 수요를 파악할 때, 그들이 무엇을 좋아할지 추측하는 것보다 요즘 한국사람들이 무엇을 즐겨하는지를 고민하는 것이 더 낫다”라는 문장이 참 인상깊었습니다.’ 로컬문화를 즐기려는 트렌드는 전세계적인 흐름인 것 같습니다.
연구원 판다들이 다녀온 사이트
<KME 2023|Korea Mice Expo 2023>
2023.11.16.(목) - 11.17.(금) | 대한민국, 송도 컨벤시아
장점: 국내 최대 관광 및 MICE 박람회. 대한민국 정부 관광 기관과 PCO, PEO, 모빌리티, 숙박업체 등 MICE산업을 움직이는 업체들을 만나볼 수 있었음. 또, 전시장 내 마련된 STAGE를 통해 MICE 산업의 트렌드를 만나볼 수 있었음. 특히 AI 등 디지털 기술을 어떻게 MICE 산업에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주로 진행됌
단점: 내부 카페테리아에서 다회용기 컵을 사용하는 등 행사 전반적으로 일회용품을 줄이고자 노력하였으나 수거에 대한 안내가 없어 회수의 혼선을 빚음
생각: 참가업체 대상으로 전시회 ESG 운영 설문 실행, 주로 행사 운영 시 일회용품 사용에 관한 질문. 일부 참가업체는 홍보판촉물로 종이 포장을 사용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업체에서 비닐, 플라스틱 등 일회용품을 주로 사용함. MICE산업에서 IT기술의 이용이 화제인 만큼, 온라인 홍보물을 제작하고 배포하여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노력을 해야겠다🐼
한림 마이스 디스커버리
제주도 베케 컨텐츠 총괄 기획자가 말하는 로컬
제주도 베케 정원, 남해 돌창고 프로젝트, 강원 트리엔날레 등의 프로젝트 등을 진행했던 경험이 있는 차재 대표님을 모시고 정말 '그놈의 재생'이 뭔지 들어본다. (3부)
2022년 문화시설 장애인 접근성 실태조사
문화시설 접근성을 위해 설치된 기존의 편의시설들의 대다수가 규정에 맞지 않아 이용에 어려움이 있음
(뇌병변) “문화시설 입구에 경사로가 없거나 각도 기준을 지키지 않은 곳이 많다.”
(지체) “승강기가 설치된 시설이라도 공간이 좁아 휠체어가 안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조작버튼이나 통화장치도 너무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 휠체어 이용자가 누르기 힘든 경우가 있다.”
하드웨어적인 시설에 집중, 정보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낮음
(청각) “ 청각장애인은 수화가 제 1언어기 때문에 한글을 모르는 경우가 많다. 픽토그램이나 영상물을 활용하여 문화시설 입구에 공지할 필요가 있다.”
(시각) “공연시설에서 점자 안내서를 제공하고 있는 곳이 드물다. 홈페이지에서도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주로 해당시설을 방문경험이 있는 지인이 있어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
2023년 2월, 최근 5년간 문화시설을 포함한 전체 편의시설의 규정 위반건수 대비 시정명령을 내린 것이 0.03%에 그쳐복지부·지자체 방관이 문제로 지적, 관련한 대처방안 활성화